전세대출을 신청할 때 가장 고민되는 부분 중 하나는 ‘어느 은행에서 받는 게 가장 유리할까?’입니다. 금리, 한도, 보증기관, 서류 간소화, 모바일 신청 여부 등 은행마다 조건이 조금씩 달라져, 무작정 한 곳에만 문의하다가는 놓치는 혜택이 생길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농협은행 등 주요 5개 시중은행의 전세대출 조건을 금리, 한도, 신청 편의성 기준으로 비교해 드립니다. 전세대출 신청 전 꼭 읽어보세요.
국민은행 전세대출 특징
국민은행(KB국민은행)은 전통적으로 전세대출 수요가 가장 많은 은행 중 하나입니다. 정부정책 대출(버팀목, 청년전세)은 물론, 일반 전세대출, 주택금융공사 보증 대출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어 선택 폭이 넓습니다. 금리: 2024년 기준 연 3.3%~4.1% 수준 (고정+변동 선택 가능) 한도: 보증금의 80% 이내, 최대 5억 원 보증기관: HF, HUG, SGI 선택 가능 신청: 모바일(KB스타뱅킹) 가능, 비대면 간편 신청 우대조건: 자동이체, 급여이체, 카드사용 시 0.5% 우대
신한은행 전세대출 특징
신한은행은 특히 청년층과 신혼부부 대상 전세대출 상품이 잘 구성되어 있는 은행입니다. 디지털 금융에 강점을 가진 만큼 모바일 신청과 심사 속도가 빠르며, 정책자금 연계 대출의 비중이 높습니다. 금리: 연 3.1%~4.2%, 청년/신혼부부는 2%대 가능 한도: 보증금 80~90%, 최대 5억 원 보증기관: HF, HUG 주력 / SGI 선택적 적용 신청: ‘쏠(SOL)’ 앱으로 신청 가능, 서류 간소화 탁월 우대조건: 청년 우대, 신혼부부 우대, 신한카드 실적 연동 할인
우리은행 전세대출 특징
우리은행은 서민금융 지원에 강점을 둔 은행으로, 버팀목 대출과 같은 정부 지원 상품이나 저신용자 대상 보증 대출에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합니다. 장애인, 다문화가정, 1인가구 등 맞춤형 상품도 운영 중입니다. 금리: 연 3.2%~4.3% 한도: 최대 5억 원 (보증금 80%) 보증기관: HF, HUG, SGI 모두 지원 신청: 인터넷/앱 신청 가능 + 점포 방문 병행 우대조건: 복지카드, 기초수급자, 장기거래고객 할인
하나은행 & NH농협은행 비교
하나은행은 외환업무에 강점을 지닌 만큼 해외 체류자, 외국인 대상 전세대출도 가능합니다. 반면, NH농협은행은 농촌 지역 및 지방 거주자에게 특화된 조건이 눈에 띕니다. 하나은행 - 금리: 3.4%~4.5% - 장점: 외국인, 재외국민 대상 상품 보유 - 신청: 인터넷뱅킹/지점 상담 필수 NH농협은행 - 금리: 3.0%~4.0% - 장점: 지방/농촌 보증금 기준 완화 - 신청: NH올원뱅크 앱으로 모바일 신청 가능
은행마다 전세대출 조건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, 핵심은 금리, 한도, 보증기관, 신청 편의성입니다. 국민은행은 우대금리와 신뢰도, 신한은행은 디지털 간편성, 우리은행은 서민금융 지원, 하나/농협은 특정지역/특수고객에 유리합니다. 본인의 상황에 맞춰 비교하고, 2~3곳 이상 사전 문의를 통해 가장 유리한 조건을 선택해 보세요.